전례 52

신앙고백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 》 1. 이 신경(Credo)은 기독교 전체의 제1차 에큐메니칼 공의회(Nicaea)에서 발의 되었고, 제2차 에큐메니칼 공의회(Constantinople:381)에서 채택된 공식 신앙 고백문서이다. 2. 이런 뜻에서 이 신경을 니케아 신경 (the Nicene Creed /the Creed / the Constantinopolitannum)또 는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the Nicene -Constantinopolitan Creed)이라 부른다. 3. 이 신경의 원문은 희랍어로 쓰여져 채택되었다. 4. 이 신경은 전 세계 모든 교파가 공히 인정하고 수용 하나 주로 정교회와 천주교 및 성공회에서 사용한다 ‘니케아 신경’의 경우,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자와 성부..

전례 2024.03.09

카니발과 사순시기의 시작 재의 수요일

카니발과 사순시기의 시작 재의 수요일 [삶이 담긴 전례력을 따라 - 박유미] 카니발과 사순시기의 시작 재의 수요일 : 태양과 달의 주기를 교차하며 기념하는 창조와 구원의 시간, 풍요로움을 준비하는 봄의 일깨움 안에 갈망의 기쁨으로 부활을 향하는 보속의 시간 재의 수요일, 사순시기가 시작됐다. 전례력 안에서 천문학, 물리학적 날짜보다 성서적 전통과 신학적 의미가 더 강조되는 대표 축일이 ‘부활 대축일’이다. 부활절에 따라 역시 성서적 전통에 따라, 그리고 예수님의 자취에 따라 40일의 정화와 준비 기간인 사순시기가 정해지고 부활 뒤에 주님 승천과 성령 강림이 정해진다. 오늘날 태양력으로 고정할 수 없는 날짜들이다. 태양력과 태음력, 달력을 복잡하게 계산하는 것을 알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원 사를 담고..

전례 2024.03.09

Missa의 구조

제1장 Missa(미사)의 구조 Missa의 구조 ---------------------------------------------------------------------------------------------- Proprium (고유부분) Ordinarium (통상부분) Rezitative, 환호 및 부름 ---------------------------------------------------------------------------------------------- 1. RITUS INITIALES [시작 예식] Introitus (입당송) 개회인사, 참회예절 Kyrie 자비송 Gloria 대영광송 Ortionibus (본기도) 2. LITURGIA VERBI [말씀 전례] 독 서 Gra..

전례 2024.01.30

교중미사 / 미사예물

[교중미사] 교구장 주교와 본당 주임사제가 모든 주일과 의무적 축일에 미사예물을 받지 않고 자기에게 맡겨진 신자들을 위해 봉헌해야 하는 미사. 교중미사는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의무를 가진 사제가 당일에 해당 본당에서 봉헌해야 한다. 또한 교중미사는 직책상의 의무이기 때문에 교구장 서리, 교구장 대행, 본당의 임시 주임사제에게도 의무가 있다. 그러나 교구장이 아닌 주교와 부주교, 보좌주교및 부교구장과 교구청근무 사제들, 본당의 보좌신부들, 신학교교수신부들, 군종사제들에게는 의무가 없다 (1951년 4월 23일자 교황청추기원의회 훈령). 한국 교회에서는 포교지방의 특전을 얻어 본당사목에 종사하는 본당신부들은 일년 중 11번의 대축일에만 미사예물없이 교중미사를 봉헌해야 할 의무를 지닌다. 즉 주님 공현 대축..

전례 2024.01.08

토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저녁 미사 주일 특전미사로 허용 안된다.

토요일 성모승천대축일 저녁 미사, 주일 특전미사로 허용 안된다 15일은 성모승천대축일로 신자들은 반드시 미사에 참례하고 거룩히 지내야 하는 의무 축일입니다. 올해 성모 승천 대축일은 주말, 즉 토요일이고 바로 다음 날 주일이 돌아옵니다. 이 때문에 토� blog.daum.net 대구대교구는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과 16일 주일미사에 대한 특전 미사 지침을 발표했다. 성모 승천 대축일 특전 미사는 14일 저녁에 지낼 수 있고, 16일 주일 특전 미사는 15일(토) 저녁에 봉헌할 수 있도록 했다. 교구는 신자들의 영적 유익을 위해 성모 승천 대축일 미사와 주일미사를 따로 봉헌해야 하지만, 부득이하게 15일 저녁 미사에만 참여할 수밖에 없는 신자는 대축일과 주일 의무를 다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부산..

전례 2020.08.01

위령미사(연미사)란?

위령미사(연미사)란? 1. 들어가는 말 죽은 이들을 위해 봉헌하는 미사를 위령미사라고 한다. 하느님은 스스로 마련하신 인간을 위한 구원계획에서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으신다. 오히려 인간의 협조를 통하여 그 구원계획을 완성하신다. 살아있는 동안 하느님을 믿으며 세례를 통해 새로이 태어났으나 나약함으로 인하여 세례 후에도 여전히 죄에 물든 채 살아가는 신자들이 있다. 비록 이 죄를 씻지 못하고 죽었을 때도 하느님은 여전히 구원의 팔을 펼치시며 모든 이를 구원하시려는 당신의 계획을 변경하지 않으신다. 세상을 떠났기에 하느님의 구원계획을 위해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연옥 영혼을 위해, 살아있는 이들이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를 봉헌하는 것이 위령미사인 것이다. 4. 위령미사의 분류 미사 경본의 총지침서에 의하면 위..

전례 2020.08.01

로마 미사 경본을 따른 새미사경본

가톨릭전례 2017. 11. 7. 16:08 [미사 경본] 로마 미사 경본을 따른 새 미사 경본... 번역보기 한국 천주교회에서 이번에 로마 미사 경본을 그대로 따른 새 미사 경본이 나왔다고 합니다.. 지금까지는 로마 미사 경본을 우리식으로 해석해서 번역한 미사 경본을 사용해 왔는데 이번에는 원문에 있는 그대로 번역한 미사 경본이 나왔답니다.. 이번 대림시기부터 새로운 미사 경본을 따라서 미사성제가 봉헌됩니다.. 이번에 바뀐 로마 미사 경본이 어떤건지 또 무엇이 어떻게 바뀌는지에 대한 내용을 경향잡지에 게제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미사 경본(Missale)이라는 용어는 중세부터 사용되었는데, 성사집이나 리벨루스를 의미하였다. 그러나 9세기 이후로는 이 용어가 기도문, 독서, 성가 등 미사에 사용되..

전례 2017.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