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ndela paschalis |
---|
이 초는 보통 밀랍(蜜蠟)으로 만들어지는데, 그 이유는
파스카 성야의 전례가 시작될 당시
벌[蜂]은 동정성을 지닌 피조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특히 교부들은 벌을 그리스도의 정배인 교회와 동정 마리아에 비유하였고,
벌꿀에서 추출한 밀랍은 동정 잉태의 결실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밀랍은 성령으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잉태되어 탄생한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가장 적절하게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벌은 동정녀 마리아를, 밀랍으로 만들어진 밀초는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게 된 것이다.
부활초가 파스카 성야 전례에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4∼8세기 갈리아 지방의 전례에서였다.
새 불에서 부활초를 켜는 예식은 8세기에 시작되었고,
새 불을 축성하는 예식은 12세기 이후에 도입되었다.
그 후 중세에 와서 성지 행렬(聖枝行列),
파스카(부활절) 금요일의 십자가 경배,
파스카 목요일의 수난 감실과 성체 조배 등과 함께
부활초의 예식도 빛의 상징으로 부활 성야 전례에 정식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그 후 오랫동안 폐지되었다가
1955년 전례 개혁으로 다시 전례에 도입되었다.
부활초에는 십자가가 새겨져 있고,
그 십자가 위에 그리스 문자의 첫 글자인 알파(Α),
그리고 아래에는 마지막 글자인 오메가(Ω)가 쓰여져 있으며,
그 해의 연수(年數)가 표시되어 있다.
이는 ‘처음과 마지막이며 시작이요 끝이신 그리스도께서
오늘도 내일도 우리 가운데 함께 계시며,
우리를 구원의 길로 인도하신다.’는 표지이다.
그리고 피를 흘리신 그리스도의 영광스런 다섯 상처[五傷]를 기념하기 위한
다섯 개의 상흔(傷痕)이 십자가의 중앙과 끝 부분에 있다.
사제는 파스카 성야 전례 중에
부활초를 한번 또는 세번 물에 담그면서 세례수를 축성한다.
그리고 부활초는 부활 시기동안 부활초 촛대에 계속 세워져
미사와 성무 일도 등 전례가 거행될 때마다 밝혀진다.
이 초는 관습적으로 주님 승천 대축일 미사 중 복음 선포후 껏으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개정된 전례서에서는
부활 시기가 성령 강림 대축일(오순절)로 끝나므로 이때까지 켜두도록 하였다.
그 후 부활초는 적절한 곳에 보관하여
세례식이 있을 때마다 불을 켜 세례자들의 초에 붙여 준다.
이 밖에 장례 미사 중에도 관 근처나 제대 옆에 부활초를 켜 놓는다.
세상의 빛이신 그리스도 상징 수난·죽음·부활·승천 이르기까지 파스카 신비 전체 드러내
밤새 앞장서 이끄시며 자유를 향해 밝혀주셨던 불기둥을 연상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나는 세상의 빛이다. 나를 따르는 이는 어둠 속을 걷지 않고 생명의 빛을 얻을 것이다” 라고 하신 그리스도를 상징한다. 가톨릭신문 자료사진 제단 위에서 빛을 밝히는 파스카 초를 볼 때마다 떠오르는 옛 추억이 있습니다. 하얀 눈이 덮인 설악산을 보좌 신부님과 선배 신학생들과 함께 등산하면서, 전날 내린 눈으로 인해서 없어진 길을 헤치며 오르다가 해가 떨어지며 어두워지는 즈음에 만난 ‘산장의 불빛’이 파스카 초 촛불에 오버랩됩니다. ‘어둠의 골짜기’(시편 23,4)에서 만난 희망의 빛이었지요. 예전에는 ‘파스카 초’를 ‘부활 초’라고 했었는데, 현재 전례서에서는 ‘파스카 초’라고 합니다. 이유는 라틴어 ‘Cereus paschalis’를 그대로 번역한 것으로, 파스카 신비에서 하나의 사건인 ‘부활’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복된 수난과 저승에서 살아나신 부활과 영광스러운 승천의 파스카 신비’ (「가톨릭 교회 교리서」, 1067항) 전체를 드러내는 초의 상징성을 제대로 보여주려는 의도입니다. 파스카 초의 유래는 어떤가요? 이 초는 파스카 성야를 많은 횃불로 밝히던 초대교회에 널리 알려진 관습에서 유래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사람 크기의 초로 파스카 성야 동안 하느님의 집에 필요한 빛을 밝히던 로마 관습에 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이를 축복하는 관습은 1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로마 바실리카에서만 국한된 관습이었으며, 5세기까지는 교회 전체에 퍼지지 않았습니다. 갈리아 전례에서 파스카 초는 단 하나의 큰 초로 제한했으며, 갈리아의 신학자들에 의해 광범위한 상징성을 지닌 우의적인 요소들로 초는 장식됐습니다. 그 요소들로써 다섯 개의 향 덩이로 이루어진 십자가와 알파와 오메가와 당해 연도는 자유재량으로 남았습니다. 성 아우구스티노께서 ‘모든 거룩한 밤샘 전례의 어머니’라고 칭송한 거룩한 밤인 파스카 성야에 봉사자들은 성당 앞에 쌓여 있는 장작더미에 불을 지피고, 주례자는 그 불을 축복하여 파스카 초에 옮겨 붙임으로써 전례가 시작됩니다. 이 파스카 초는 칠흑같이 어두운 성당 안으로 들어가는 행렬 맨 앞에서 행렬을 이끕니다. 이는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이집트 종살이에서 구하시고 밤새 앞장서 이끄시며 자유를 향해 밝혀주셨던 불기둥을 연상시킵니다. (탈출 13,21 참조) 다른 한편으로 파스카 초는 그리스도를 상징합니다. 예전에는 자연적으로 불을 얻기 위해 부싯돌의 불꽃으로 장작에 불을 붙이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이 불꽃은 돌무덤의 어둠에서 부활하시어 걸어 나오는 그리스도를 연상시킵니다. 파스카 초의 뒤를 따르는 사람들은 “나는 세상의 빛이다. 나를 따르는 이는 어둠 속을 걷지 않고 생명의 빛을 얻을 것이다” (요한 8,12)라고 하신 그리스도의 말씀을 기억합니다. 파스카 초를 선두로 제대를 향해 들어가는 행렬은 세 차례에 걸쳐 멈추어 서고, 그때마다 “그리스도 우리의 빛”이라고 외칩니다. 그리고 독서대 옆이나 제단 안에 마련된 촛대에 파스카 초를 놓은 다음, 빛의 예식을 마무리하는 ‘파스카 찬송’(Exsultet)을 독서대에서 노래합니다. 곧 파스카 초를 옆에 놓은 독서대는 주님의 부활을 선포하는 전례 공간입니다. 부활 시기 동안에 독서대 옆이나 제단에 마련된 촛대에 놓여있는 파스카 초는 성령 강림 대축일이 지난 후에는 성당에 세례대가 있으면 그 옆에 둡니다. 세례식에서 세례자에게 촛불을 켜줄 때, 파스카 초에서 불을 당겨주고, 장례미사 때에는 파스카 초를 고인의 머리맡에 놓는 까닭은 신앙인은 부활하신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고백하고 영원한 생명을 희망하는 사람임을 드러내기 위함입니다. 곧 교회는 신앙인 모두가 세상에서 ‘파스카 초’가 되어 어두운 세상에 빛을 비추는 존재이길 기원하지요. |
'전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령미사(연미사)란? (0) | 2020.08.01 |
---|---|
로마 미사 경본을 따른 새미사경본 (0) | 2017.11.11 |
성체 앞에서 (0) | 2015.08.13 |
전례봉사 (0) | 2015.05.03 |
미사 전례 봉사자 - 복사 (0) | 201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