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 태조 (이성계) 왕위 1392-1398(57-63세) 사망 73세(1408) 중풍 / 동구릉의 건원릉 자녀 13명 함경도 여진족 동네에서 대장하다가 원나라 대신 고려로 들어와 고려를 접수했음 조선을 세웠으나 젊은 아들들의 등쌀에 임금 물려주고 쫓겨 남 ![]() 2대 정종 (이방과) 왕위 1399-1400(42-43세) 사망 62세(1419) 노환 / 후릉(유일하게 북한지역 판문점 북쪽) 자녀 23명 동생에게 떠밀려 임금 자리에 올랐으나 1년 만에 도로 주고 팔자 편한 야인이 됨 아기만 부지런히 만들었음 ![]() 3대 태종 (이방원) 왕위 1401-1418(34-51세) 사망 55세(1422) 폐렴 / 헌릉 자녀 29명 / 16남 13녀 조선의 모든 체제를 실질적으로 만든 임금. 그 와중에 가족 간의 분쟁이 있어서 점수를 많이 잃은 임금. 자진해서 죽기 전에 임금자리 물려 준 최초의 임금. ![]() 4대 세종 (이도) 왕위 1418-1450(21-53세) 승하 53세 당뇨 등 비만질환 다수 / 영릉(최초 부부합장) 자녀 22명 / 18남 4녀 (득남 최다 기록) 형제간 왕권다툼이 싫은 두 형님들 덕분에 임금이 된 사나이 소헌왕후 심씨는 정실부인으로 혼자 8남 2녀 10명의 자녀를 낳아 신기록 수립 말년에 훈민정음을 만들어 각종 책자 번역본 만드느라 바쁘게 지내다가 승하 ![]() 5대 문종 (이향) 왕위 1450-1452(36-38세) 승하 38세 등창 / 현릉 자녀 3명 장남 출신으로 처음으로 임금된 사나이 세자 시절 다른 여자들과 너무 놀아 외로운 세자빈이 동성연애하다가 쫓겨 났고... ![]() 6대 단종 (이홍희) 왕위 1452-1455(11-14세) 사망 16세(1457) 영월 청령포에서 사약 / 장릉 자녀 없음 어린 왕이 중요문서 결재 시 대신들이 노란 점을 찍어주면 빨간 색으로 결재했음 화가 난 종친 어른 양녕대군이 수양대군에게 맡기는 게 더 낫겠다고 하였다. 수양에게 양위 후 "노산군“으로 되었다가 250년 뒤 숙종이 ”단종“으로 복위시켜 줌 ![]() 7대 세조 (이유) 왕위 1455-1468(38-51세) 승하 51세 문둥병과 불면증 / 광릉 자녀 5명 세종이 못다 한 고서의 한글 번역 작업 거의 마무리함 많은 대신들과 조카를 죽인 사실을 나중에 자책하며 전국 사찰을 돌았다 ![]() 8대 예종 (이황) 왕위 1468-1469(18-19세) 승하 19세, 안순왕후 한씨와 자다가 복상사 / 창릉 자녀 3명 주요 업적이라고는 유자광에 꾀여 남이장군 죽인 일 정도밖에 없다. 승하 시 처음에는 발에 종기가 나서 급사했다고 발표되었다. ![]() 9대 성종 (이혈) 왕위 1469-1494(12-37세) 승하 37세, 등창과 폐병 / 선릉 자녀 28명 (비공식 기록은 100명이 넘는다고 함) 대왕대비와 인수대비가 정치를 다해 주어 임금이 할 일이 없어 여자만 좋아했다. 궁궐 담을 넘어서 시내 기생들과 밤을 새고 들어온 적이 많았다 궁중 여자들 분쟁에 왕비 윤씨를 폐비시키고 사약을 내린 일이 있다. ![]() 10대 연산군 (이용) 왕위 1494-1506(18-30세) 사망 30세, 강화도 유배 중 괴질 / 서울 방학동에 산소 (아직 민간인 신분이라 릉이 아님) 자녀 5명 처음에는 무난한 정치를 했으나 신하들끼리 싸우다가 누군가가 폐비 윤씨 사건을 얘기했다 그 후 불효 자식은 될 수 없다고 하여 미친 듯이 어머니 복수를 하고 정치에 신물이 났다. 조용히 쫓겨났고 강화 교동도에 유배 가서 그 해를 못 넘기고 사망하였다. ![]() 11대 중종 (이역) 왕위 1506-1544(18-56세) 승하 56세, 거머리로 등창 치료 중 울화병 / 정릉 자녀 20명 처음에는 반정공신들에게, 나중에는 외갓집 식구들에게 휘둘렸다 젊은 조광조를 잠깐 기용하였으나 너무 급진파라 다시 쫓아냈다. ![]() 12대 인종 (이호) 왕위 1544-1545(29-30세) 승하 30세, 이질 / 효릉 자녀 없음 계모 문정왕후가 자기 아들 때문에 임금을 독살시켰다는 설도 있음 ![]() 13대 명종 (이환) 왕위 1545-1567(11-33세) 승하 33세, 무수리 장씨와 지나친 방사 / 강릉 자녀 1명 여자에게 너무 빠져서 엄마 문정왕후에게회초리도 맞았으나 별로 변화가 없었다고 한다. ![]() 14대 선조 (이균) 왕위 1597-1608(15-56세) 승하 56세, 중풍 / 목릉 자녀 25명 임진왜란 때 의주로 피난 가기도 바쁜데 아기들만 많이 만들었다. 후궁 소생 차남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했으나 나중에 정실부인으로 온 왕비가 득남했다. 세자를 바꿀까 말까 갈등하던 중에 승하하였다. ![]() 15대 광해군 (이혼) 왕위 1608-1623(33-48세) 사망 66세(1641), 제주도에서 노환으로 / 제주도 산소 (아직 민간인 신분이라 릉이 아님) 자녀 2명 세자 시절 임진왜란 임시정부 수반으로 위기를 잘 넘겼고 임금 시절 후금과 명나라 사이에서 외교 정책을 잘 하였으나 이복 동생 영창대군 죽인 사실이 흉이 되어 결국에는 쫓겨 남 제주도에서 마음을 비우고 잘 지내다가 노환으로 사망함 ![]() 16대 인조 (왕위에 즉위하기 전 이천윤 즉위하고 이종) 승하 54세, 홧병 / 장릉 자녀 8명 반정세력의 논리에 휘말려 후금을 무시하다가 두 번의 호란을 당함 두 번째는 여진족을 만주족으로 개명하고 황제의 나라로 발전한 청나라의 병자호란이다, 말로만 국방을 하다가 결국에는 임금이 청나라 황제에게 큰절하는 치욕을 당한다. 심양에 인질로 잡혀간 소현세자가 천주교 신자가 되어 돌아오자 독살했다는 설이 있다. ![]() 17대 효종 (이호) 왕위 1649-1659(30-40세) 승하 40세, 어의의 의료사고로 출혈사 / 영릉 자녀 8명 형님 소현세자와 함께 인질로 잡혀 갔다가 온 왕자 임금 된 후로 북벌론을 엄청 강조한 임금 수전증 걸린 어의의 실수로 의료사고가 발생하여 과다출혈로 승하한 임금 ![]() 18대 현종 (이연) 왕위 1659-1674(18-33세) 승하 33세, 학질과 과로 / 숭릉 자녀 4명(1남 3녀) 효종이 봉림대군 시절 중국 심양에 인질로 있을 때 태어 난 사나이 요즈음 모 드라마에서 효종의 공주가 주인공과 사랑을 나누는 이야기가 있는데 사실 제일 큰 공주는 14세 때 결혼을 해 버렸기 때문에 드라마 이야기는 거짓말임 ![]() 19대 숙종 (이순) 왕위 1674-1720(13-59세) 승하 59세, 등창과 스트레스 / 명릉 자녀 8명 인현왕후, 장희빈 사이에서 고생하는 와중에 노산군을 단종으로 복위 조치 ![]() 20대 경종 (이윤) 왕위 1720-1724(32-36세) 승하 36세, 게장과 상극인 생감을 같이 먹다가 급사 / 의릉 자녀 없음 숙종과 장희빈 아들로 끊임 없는 당파싸움 와중에 독살되었다는 설도 있음 ![]() 21대 영조 (이금) 왕위 1724-1776(30-82세) 승하 82세, 치매 / 원릉 자녀 14명 경종을 독살하고 무수리 자식이 임금되었다는 말을 제일 싫어하는데 세자가 어디서 듣고 옴 신하들 당쟁과 임금의 치매가 세자를 죽게 함. 뒤늦게 슬퍼하며 “사도세자”라 작명함 조선 임금 중 제일 장수한 임금임 ![]() 22대 정조 (이산) 왕위 1776-1800(24-48세) 승하 48세, 등창 / 건릉 자녀 4명 안경을 쓴 최초의 임금. 아버지 사도세자를 “장조”라 추존함. 해마다 아버님 제사 지낸다며 수원까지 행차함 아버지 복수를 해야 하나 갈등하던 중 독살 당했다는 설도 있음 ![]() 23대 순조 (이공) 왕위 1800-1834(10-44세) 승하 44, 매독 3기 / 인릉 자녀 6명 김조순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여 안동김씨 시대가 시작됨. 매독 옮긴 사람은 또 누군지? ![]() 24대 헌종 (이환) 왕위 1834-1849(7-22세) 승하 22세, 폐결핵 / 경릉 자녀 1명 술과 여자로만 세월을 보내다가 요절함 ![]() 25대 철종 (이변) 왕위 1849-1863(18-32세) 승하 32세, 폐결핵 / 예릉 자녀 11명 강화도에서 끌려와 임금이 된 사나이. 술과 여자가 지나치더니 또 폐결핵인가.. ![]() 26대 고종 (이재황) 왕위 1863-1897(11-45세), 황위1897-1907(45-55세) 사망 67세(1919), 일본에 의한 독살 / 홍릉 자녀 14명 아버지 대원군, 왕비 민씨, 일본인 등이 나서서 정치를 대신 다해 주었음. 왕비 칼맞아 죽고 일본이 조선을 왕국에서 독립제국으로 승격시키자 졸지에 황제가 됨 선대 25명의 왕을 모두 황제로 승격시켜 일제히 ○조, ○종 등의 명칭으로 다 바꿈 황제의 아들은 무슨 대군이란 말 대신 무슨 왕으로 불리운다. (의친왕, 영친왕...) 여기저기 독립군 특사를 보내며 뒷북을 치다가 황제에서 쫓겨나서 12년 후 독살 당함 고종 장례식을 보려고 서울에 모인 사람들이 만세 부른 것이 3 1 만세운동이지요 ![]() 27대 순종 (이척) 황위 1907-1910(34-37세) 사망 53세(1926), 라디오 청취 중 심장마비 / 유릉 자녀 없음 쫓겨난 고종 황제 대신 황제 자리에 잠깐 앉았지만 대부분 업무는 일본에서 다 했다 1910년 대한제국이 일본제국에 병합되자 순종 황제도 무슨 왕인가로 격하된다. 이 때 데라우치 조선 통감이 조선 총독으로 승격되어 한반도를 통치한다. 순종 장례식 때 사람들이 또 만세를 외쳤는데 이를 6 10 만세사건이라 한다. (제고 동문홈에서 펌) ================ 글쓴이 : 문학박사 황재순(부개고등학교장/전 제고 교사-교감) |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 한 마리가 오늘 내게 한 말 (0) | 2016.06.30 |
---|---|
칭찬인 줄 알았습니다 (0) | 2016.06.30 |
보는 관점 (0) | 2016.06.30 |
인천고등학교 발원지가 현 제물포고 자리라는데... (0) | 2013.03.06 |
鄧小平 '공칠과삼(功七過三)'의 법칙 (0) | 201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