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나이의 호칭 및 생신 명칭

Joannes 2016. 6. 30. 22:09

*** 나이의 호칭 및 생신 명칭 *****

*해제(孩提)

: (2~3세) 어린 아이(兒提)

*지학(志學)

(15세) : 15세가 되어야 학문에 뜻을 둔다는 뜻

*약관(弱冠)

(20세) : 남자는 스무살에 관례(冠禮)를 치루어 성인이 된다는 뜻

*이립(而立)

(30세) : 서른살쯤에 가정과 사회에 모든 기반을 닦는다는 뜻

*불혹(不惑)

(40세) : 공자가40세가 되어서야 세상일에 미혹함이 없었다고 한데서 나온 말

*지천명(知天命)

(50세) : 쉰살에 드디어 천명을 알게 된다는 뜻

*이순, 육순(耳順, 六旬)

(60세) : 이순은 논어에서 나온 말로

나이 예순에는 생각하는 모든 것이 원만하여

무슨 일이든 들으면 곧 이해가 된다는 뜻입니다.

60세 때의 생신인 육순(六旬)이란 열(旬)이 여섯(六)이란 말이고,

육십갑자(干支六甲)를 모두 누리는 마지막 나이입니다.

*환갑, 회갑(還甲, 回甲)

(61세) : 61세 때의 생신으로 60갑자를 다 지내고

다시 낳은 해의 간지가 돌아왔다는 의미이지요.

*진갑(陳·進甲)

(62세) : 62세 때의 생신으로 다시 60갑자가 펼쳐져 진행한다는 의미입니다.

*미수(美壽) 

(66세) : 66세 때의 생신입니다.

현대 직장의 거개가 만 65세를 정년으로 하기 때문에

66세는 모든 사회활동이 성취되어 은퇴하는 나이이면서도

아직은 여력이 있으니 참으로 아름다운 나이이므로 `美壽'라 하고,

`美'자는 六十六을 뒤집어 쓰고 바로 쓴 자이어서 그렇게 이름 붙였습니다.

*고희·칠순·종심(古稀·七旬·從心)

(70세) : 70세 때의 생신이지요.

두보(杜甫)의 곡강(曲江) 시에?「술 빚은 보통 가는 곳마다 있으니

결국 인생은 기껏 살아 본들 70 세는 옛날로부터 드물지요.

(酒債尋常行處有하니 人生七十古來稀라.)」란

승구 중 고(古)자와 희(稀) 자만을 써서 ‘고희(古稀)’란 단어를 만들어

70세로 대신 쓴 것입니다.

또한 뜻대로 행하여도

도(道)에 어긋나지 않았다고 한데서 종심이라 하였습니다.

*희수(喜壽)

(77세) : 77세 때의 생신이지요.

오래 살아 기쁘다는 뜻.

희(喜)자를 약자로 쓰면 七十七이 되는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팔순·산수(八旬·傘壽)

(80세) : 80세 때의 생신입니다.

산(傘)자의 약자가

팔(八)을 위에 쓰고 십(十)을 밑에 쓰는 것에서 유래 했습니다.

*미수(米壽)

(88세) : 88세 때의 생신입니다.

미(米)자를 풀면 팔십팔(八十八)이 되는 것에서 유래 되었지요

*졸수(卒壽)

(90세) : 90세 때의 생신입니다.

졸(卒)의 속자(俗字)가

아홉구(九)자 밑에 열십(十)자를 사용하는데서 유래 되었습니다.

*백수(白壽)

(99세) : 99세 때의 생신입니다.

백(百, 100)에서 일(一)을 빼면(99세) 즉, 백자(白字)가 되지요 

*천수(天壽) : 병없이 늙어서 죽음을 맞이하면

하늘이 내려 준 나이를 다 살았다는 뜻으로 천수라 합니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웃음  (0) 2016.06.30
한번만과 한번 더  (0) 2016.06.30
友테크  (0) 2016.06.30
유행가 체질  (0) 2016.06.30
집안? 집구석  (0) 2016.06.30